사상의학에 따른 체질과 건강
한국 한의학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東武 李濟馬(1937-1900)는 조선말기의 철학자이면서 의학자로서 그의 사상은 주로 격치고(格致藁)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잘 나타나 있다. 이제마 선생은 기존의 음양오행이 한의학의 주된 이론에서 벗어나 주역의 태극, 양의,사상의 분화되는 과정에서 태양, 소양, 태음, 소음의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제마의 철학적 배경은 유학의 사심신물(事心身物)에서 비롯되었다.
사상의학이 기존의 동양의학과 다른 점
- 四元構造的醫學이다.
기존의 한의학은 도교의 영향을 받아서 음양오행에 의하여 한의학의 이론을 전개 하였으나 사상의학에서는 유학의 영향을 받아 太極을 心이라하고 兩儀를 心身이라하고 四象을 事心身物이라 하였다. 宇宙에서의 사원구조는 天人性命이라하고,사회현상의 사원구조는 仁義禮智, 忠孝友悌, 士農工商, 田宅邦國이라하고, 인체의 生理的사원구조는 耳目鼻口, 肺脾肝腎, 頭肩腰臀, 臍腹이라하고, 인간체질의 사원구조는 太陽人, 少陽人, 太陰人, 少陰人이라 하였다.
- 인간중심의 病理醫學이다
.
기존의 한의학이 도교적 배경에서 출발한 음양 오행과 天人相應의 병리 의학으로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이라는 관점으로 한의학을 전개하였다 사상의학은 유교적 배경에서 나온 병리의학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한의학이다. 즉 음식물과 風寒暑濕외에도 喜怒哀樂이라는 감정의 변화가 병의 주된 원인이된다는 인간중심적 병리현상을 설명하였다. 3. 心身均衡的治療醫學이다. 기존의 약물과 침구의 수단으로 모든 병을 치료하려는 고전적 치료의학에서 정신적 안정을 치료의 수단으로 새로이 도입하여 心 身적 균형상태에서 치료정신을 구하고 있다. 6.체질관리를 이용한 養生醫學이며 생활속에 찾는 예방의학이다. 이제마선생은 사상의학을 치료의학의 비중보다는 인격완성( 수양) 및 양생의학에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이를 생활속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신의 체질을 스스로 알아서 병이 나기 전에 미리 병을 예방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 체질관리를 이용한 養生醫學이며 생활속에 찾는 예방의학이다.
이제마 선생은 사상의학을 치료의학의 비중보다는 인격완성( 수양) 및 양생의학에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이를 생활속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신의 체질을 스스로 알아서 병이 나기 전에 미리 병을 예방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1. 사상체질의학의 장점으로서는
대개 외모·성격·생리적 특성·질병관계·음식의 선호·맥·약물·침반응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 사항들을 종합하여 체질을 판단한다.
간단하게 당신은 무슨 체질이며, 몸의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본래 타고난 폐·비·간·신장 기능의 강약에 따라서 체질이 다르며, 각 장기가 서로 작용(相生·相克作用)을 하여 생리적기능과 질병은 물론 성격이나 특성이 나타난다. 사상의학에서는 사람을 폐장, 비장, 간장, 신장의 기능의 대·소·허·실에 따라 태양인(肺大肝小), 태음인(肝大肺小), 소양인(脾大腎小), 소음인(腎大脾小)으로 분류한다.
사상의학이 기존의 동양의학과 다른 점
- 四元構造的醫學이다.
기존의 한의학은 도교의 영향을 받아서 음양오행에 의하여 한의학의 이론을 전개 하였으나 사상의학에서는 유학의 영향을 받아 太極을 心이라하고 兩儀를 心身이라하고 四象을 事心身物이라 하였다. 宇宙에서의 사원구조는 天人性命이라하고,사회현상의 사원구조는 仁義禮智, 忠孝友悌, 士農工商, 田宅邦國이라하고, 인체의 生理的사원구조는 耳目鼻口, 肺脾肝腎, 頭肩腰臀, 臍腹이라하고, 인간체질의 사원구조는 太陽人, 少陽人, 太陰人, 少陰人이라 하였다.
- 인간중심의 病理醫學이다
.
기존의 한의학이 도교적 배경에서 출발한 음양 오행과 天人相應의 병리 의학으로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이라는 관점으로 한의학을 전개하였다 사상의학은 유교적 배경에서 나온 병리의학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한의학이다. 즉 음식물과 風寒暑濕외에도 喜怒哀樂이라는 감정의 변화가 병의 주된 원인이된다는 인간중심적 병리현상을 설명하였다. 3. 心身均衡的治療醫學이다. 기존의 약물과 침구의 수단으로 모든 병을 치료하려는 고전적 치료의학에서 정신적 안정을 치료의 수단으로 새로이 도입하여 心 身적 균형상태에서 치료정신을 구하고 있다. 6.체질관리를 이용한 養生醫學이며 생활속에 찾는 예방의학이다. 이제마선생은 사상의학을 치료의학의 비중보다는 인격완성( 수양) 및 양생의학에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이를 생활속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신의 체질을 스스로 알아서 병이 나기 전에 미리 병을 예방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 체질관리를 이용한 養生醫學이며 생활속에 찾는 예방의학이다.
이제마 선생은 사상의학을 치료의학의 비중보다는 인격완성( 수양) 및 양생의학에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이를 생활속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신의 체질을 스스로 알아서 병이 나기 전에 미리 병을 예방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1. 사상체질의학의 장점으로서는
- 1) 체질적인 약물치료를 할 수 있고
2) 자기의 체질에 맞는 이로운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알기 쉽고
3) 체질에 의한 감정이나 성격의 장단점을 알 수 있어서, 음식이나 감정에 대한 관리가 편리하다.
대개 외모·성격·생리적 특성·질병관계·음식의 선호·맥·약물·침반응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 사항들을 종합하여 체질을 판단한다.
간단하게 당신은 무슨 체질이며, 몸의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본래 타고난 폐·비·간·신장 기능의 강약에 따라서 체질이 다르며, 각 장기가 서로 작용(相生·相克作用)을 하여 생리적기능과 질병은 물론 성격이나 특성이 나타난다. 사상의학에서는 사람을 폐장, 비장, 간장, 신장의 기능의 대·소·허·실에 따라 태양인(肺大肝小), 태음인(肝大肺小), 소양인(脾大腎小), 소음인(腎大脾小)으로 분류한다.